과목 개요

1. 국제지역경제 이해 (Understanding on the International and Regional Economy)

세계의 많은 국가들, 특히 개발도상국  경제의 공통성과 다양성을 살펴보고, 여기에서 기인하는 발전문제에 대한 각 국가의 상이한 입장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 왜 우리가 세계경제라는 통일적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각 지역별 국가별 경제를 검토해보아야 하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2. 국제지역정치 이해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gional Politics)

이 과목은 입문 성격의 세계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주요 현안과 문제들에 대한 학습을 통해 세계의 각 지역이 어떤 과정을 통해 발전해 왔으며, 향후 전개 양상은 어떻게 될지, 각 지역이 가지고 있는 문제와 가능성은 무엇인지 살펴보는데 초점을 둔다. 해당 전공 지역에 대한 기본 지식은 물론 글로벌화된 지구 환경에서 지역 간 보편성과 특수성을 발견함으로써 학생들은 오늘의 세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비판적 인식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3. Locality 콘텐츠학 이해 (Understanding Locality Contents Studies)

Locality 콘텐츠학이란 기존 콘텐츠학을 광역단위에서 재정의 한 것으로, 광역 단위의 문명권에 대한 총체적 전망 및 창의적 접근을 겸비한 기획자 양성을 위한 교과목이다. 문명권과 문화, 문화접변, 비교문화, 콘텐츠 분석 및 기획 방법론 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해당 로컬리티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나아가 이에 적극적이고 창의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

4. 인문지역학 입문 (Introduction to Humanity Area Studies)

글로벌 사회의 가속화된 흐름을 배경으로 장소와 공간을 둘러싼 정체성의 역학, 이른바 ‘로컬리티’의 문제는 한층 더 첨예한 중요성을 띠게 되었다. 역설적이게도 전지구적인 연결과 소통 상황을 배경으로 하여 인간의 정체성 및 세계감각에 미치는 ‘지역성’의 역할과 의미는 더욱 커졌다. 본 강좌는 ‘인문지역학’이라는 새로운 학제적 패러다임 하에서 기존 지역연구(regional studies)와 인문학 간의 생산적인 융합과 소통을 모색함으로써, 글로벌 사회가 새롭게 요구하는 로컬리티 기반 비평 능력을 갖춘 창의적 인재를 육성할 것을 목표로 한다.

5. 외국학으로서의 한국학 (Korean studies in Global Context)

이 강좌는 한국 이외의 지역에서 전개되어온 한국에 대한 연구와 역사와 현황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학술장에서 한국학의 정체성을 새롭게 정립하는 시각을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민족성과 국제성의 대립에 기반을 둔 지역학으로써의 한국학이 전개되어 온 역사를 검토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극복할 방법론을 모색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로컬리티와 글로벌리티의 결합에 기반을 둔 외국학 개념을 수립하고자 한다.

6. 로벌미디어와 로컬리티 (Global media and locality)

오늘날 글로벌 미디어 환경에서 개별 로컬리티의 가치와 특성을 보존 발전시키는 방법을 살펴보고, 로컬리티 문제와 관련해 전지구적 미디어 팽창 현상 가운데서도 대안적 미디어를 통한 진보적 실천이 이루어지는 사례를 탐구한다.

7. 국제지역경제 세미나 (Seminar on International and regional economies)

국제지역경제학은 경제와 지리의 관계에 대한 광범위한 이해 도모를 목적으로 한다. 본 강의는 지리적 공간을 마그레브, 유라시아, 중남미, 남아시아로 나누어 해당 로컬리티의 경제 현황을 세미나 형식으로 집중 조명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9. Locality 콘텐츠 산업 (Locality Contents Industries)

본 강의는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되며, 해당 지역권의 콘텐츠 산업 동향에 대한 정확한 분석 및 이해를 바타으로 문제점과 해결책을 아울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0. 인문지역학 방법론 (Methodology of Humanity Area Studies)

글로벌 사회의 가속화된 흐름을 배경으로 장소와 공간을 둘러싼 정체성의 역학, 이른바 ‘로컬리티’의 문제는 한층 더 첨예한 중요성과 시의성을 띠게 되었다. 역설적이게도 전지구적인 연결과 소통 상황을 배경으로 하여 인간의 정체성 및 세계감각에 미치는 ‘지역성’의 역할과 의미는 더욱 커졌다. 본 강좌는 기존 지역연구(regional studies)와 인문학의 생산적인 접점을 모색하는 ‘인문지역학’의 다양한 방법론을 습득함으로써 글로벌 사회가 새롭게 요구하는 로컬리티 기반 비평 능력을 갖춘 창의 인재를 육성할 것을 목표로 한다.

11. 글로벌 비즈니스 모델과 로컬리티(캡스톤디자인 - Global Business Model)

이 강좌의 목적은 학생들에게 환경, 법규, 문화같은 로컬 변수에 따른 글로벌 비즈니스 모델을 탐구하고 개발하는 데 있다. 오늘날 경제의 세계화는 세계를 평평하게 만들고 있지만 오히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상이한 로컬의 다양성이 더욱 중요해지기 시작하였다. 이 과목에서 학생들은 ‘전속 vs 아웃소싱’, ‘국내 vs 해외’, ‘수요 vs 공급’, ‘중심 vs 분산’ 등과 같은 비즈니스 모델을 바탕으로 소비자, 공급자, 경쟁사 사이의 글로벌/로컬의 역동성을 탐구한다. 

12. 로컬리티와 미디어 리터러시 (Locality and media literacy)

세계화와 정보화 시대에 다량으로 쏟아지는 로컬리티 관련 정보 콘텐츠와 미디어 메시지를 비판적으로 평가, 이해, 활용하는 방법을 배운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외대로 81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교양관 213-1호
031-330-4593~4 / localitycenter@hufs.ac.kr
Copyright (c) 2024 한국외국어대학교 로컬리티 사업단. All rights reserved.